티스토리 뷰

운동 후 무릎통증, 계단 오를 때 무릎통증, 무릎이 시큰거리고 화끈거린다면 거위발건염을 의심해야 한다.

거위발건염
거위발건염

거위발건염이란?

거위발건염
거위발건염


거위발건은 슬관절 내측부 원위 5cm 정도에 위치하고 허벅지 앞쪽 봉공근, 허벅지 안쪽을 따라 내려가는 박근, 햄스트링 근육 반건양근 이 3개의 근육이 모여서 연합 부착되어 형성된 건이다.
거위발건염이란 거위발건과 경골 사이에 위치한 점액낭에 발생한 염증을 뜻한다.


거위발건염 증상


1. 무릎 안쪽 부위 통증
2. 부종 및 열감
3. 무릎의 운동범위 감소

운동 혹은 계단을 오를때 통증이 심해지는 경우가 많다. 주로 무릎 내측이 욱신거리거나 시큰한 통증이 발생하며 심한 경우에는 가만히 있을 때도 통증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무릎 관절의 운동 범위가 좁아지는 듯한 느낌도 받을 수 있다.


거위발건염 걸리는 이유

 


허벅지 근육을 많이 쓰는 경우 발생할 가능성이 크며, 방향 전환과 같은 무릎이 많이 사용되는 운동을 하는 경우에도 거위발건염이 생길 수 있다.
그래서 육상선수 혹은 테니스, 농구, 축구 등을 즐겨하는 사람이라면 흔하게 나타날수 있는 질환이다.
그러나 꼭 운동이 아니더라도 무릎을 펴고 굽히는 동작의 반복, 장시간 보행 등 무릎관절을 많이 사용할 경우에도 나타날 수 있다.
또한 퇴행성 관절염이 있거나 뒤쪽 허벅지 근육이 뻣뻣한 경우 혹은 비만인 사람들도 발병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무릎 통증
무릎 통증


거위발건염 진단법


이학검사(손으로 눌러 통증 여부 판단)로 거위발건 위치를 눌러보았을때 심각한 통증이 느껴진다면 거위발건염일 가능성이 크다.
정확한 진단법으로는 병원에 내원해서 검사를 받아보는게 좋으며 뼈가 아니기 때문에 엑스레이로는 확인이 불가하다.
초음파검사나 MRI검사로 진단이 가능하나 MRI 검사보다는 초음파검사로도 충분히 발견할 수 있기에 초음파검사를 추천한다.

무릎 통증 거위발건염
무릎 통증 거위발건염


거위발건염 치료법


감염에 의한 점액낭염의 경우에는 항생제 치료를 필요로하며 항생제로도 치료가 되지 않는 경우 배농술 등의 수술을 해야 할 수도 있다.
감염에 의한 염증이 아니라면 정도에 따라 냉찜질, 진통소염제 투약, 스테로이드 주사를 통해 증상을 호전 시킬 수 있으며 만성인 경우 수술을 통하여 점액낭을 제거하는 방법도 있다.

 

 


거위발건염 예방법


과도한 무릎 사용을 자제하는 것이 중요하며 마사지, 스트레칭, 소염제 크림, 냉찜질 등 운동 전후의 관리가 중요하다.
무릎 주변근육들이 약해지면 더욱 발병하기 쉽다. 대퇴사두근 및 햄스트링을 강화하는 운동 및 스트레칭을 꾸준히 해주는 것이 거위발건염 예방에 도움이 된다.


거위발건염 예방 치료법
거위발건염 예방 치료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