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비염의 정의, 비염의 원인 및 진단 그리고 코세척 하는 방법
비염이란
비염은 코와 비강의 염증으로 인한 흔한 호흡기 질환입니다.
비염의 원인
1. 알러지성 비염: 가장 흔한 비염 유형으로, 알레르기 원인에 의해 발생합니다. 호흡기 알레르기로 인한 염증이 비강을 자극하고 증상을 유발합니다.
2. 비알러지성 비염: 알레르기가 아닌 다른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비염으로, 비알레르기 비염이라고도 불립니다. 환경적인 요인, 비강 구조의 이상, 호흡기 감염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비염의 진단
1. 증상 평가: 코막힘, 코매염, 재채기, 비루, 코 가려움 등의 증상이 관찰됩니다.
2. 병력 조사: 환자의 증상과 알레르기 반응, 가족력 등을 평가합니다.
3. 피부 알레르기 검사: 알레르기성 비염의 경우 특정 알레르기에 대한 피부 반응을 확인합니다.
4. 혈액 검사: 일부 경우에는 특정 항체 농도를 측정하여 알레르기 반응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5. 후각 테스트: 후각 기능의 저하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습니다.
치료
1.약물 치료: 증상 경감을 위해 항히스타민제, 강염제, 스테로이드 제제 등의 약물이 사용됩니다.
2. 면역요법: 심한 알레르기성 비염 환자에게는 알레르기 피부 주사나 면역요법이 고려될 수 있습니다.
3. 수술: 비구조의 이상으로 인한 비염의 경우 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일상적으로 할 수 있는 치료
1. 알레르기 트리거 피하기: 알레르기성 비염 환자는 알레르기 원인물질(먼지, 꽃가루 등)과 접촉을 피해야 합니다.
2. 청결한 환경 유지: 집 안을 청결하게 유지하고 먼지나 곰팡이 등을 제거합니다.
3. 가습기 사용: 건조한 환경에서 코의 염증을 완화하기 위해 가습기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4. 코 세척: 코를 정기적으로 소금물이나 정제수로 세척하여 코강 내 알레르기성 물질을 제거합니다.
5. 식이 조절: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할 수 있는 음식(우유, 계란, 고기 등)을 피하거나 제한합니다.
**코세척 방법 동영상 링크를 걸어드릴게요~
예방하는 방법
1. 알레르기 원인 피하기: 알레르기성 비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알레르기 원인물질과의 접촉을 피해야 합니다.
2. 주변 환경 관리: 집 안을 청결하게 유지하고 곰팡이나 먼지 진드기 등의 환경적인 요인을 제어합니다.
3. 면역 강화: 건강한 생활습관을 유지하고 영양가 있는 식단을 섭취하여 면역 체계를 강화합니다.
4. 스트레스 관리: 스트레스는 비염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적절한 스트레스 관리 방법을 찾아 실천합니다.
비염은 각 개인의 증상과 심각도에 따라 다양한 치료 접근법이 있습니다. 의학적 접근은 의사의 지도 아래 약물 치료나 면역요법 등을 통해 관리되며, 일상적인 방법은 환경 관리와 건강한 습관을 통해 예방 및 증상 완화를 돕습니다. 개별적인 상황에 따라 적절한 조치를 취하고 의료 전문가의 지도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비염에 쓰이는 약물들
비염의 의학적 치료에서 사용되는 약물은 증상 경감과 염증 완화를 위해 다양한 작용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습니다. 주로 사용되는 약물 및 해당 약물의 주요 부작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항히스타민제
약물: 클로르페니라민, 디프레나린, 루테리진 등
작용 메커니즘: 히스타민 수용체에 작용하여 염증 반응을 억제하고 증상을 완화합니다.
부작용: 졸림, 졸음, 구역질, 두통, 어지러움 등이 일반적입니다.
2. 항염제:
약물: 프로플라제, 플루니손, 베클로메타손 등
작용 메커니즘: 염증을 억제하고 코 내 조직의 부종을 감소시킵니다.
부작용: 코건조증, 코 가려움, 코 피로, 코 피부 변화 등이 일반적입니다.
3. 스테로이드 제제:
약물: 플루티카손, 베클로메타손, 미메타손 등
작용 메커니즘: 염증을 억제하고 코 내 조직의 부종을 감소시킵니다.
부작용: 코건조증, 코 가려움, 코 피로, 피부 변화, 후각 손실, 코피로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장기적으로 사용할 경우 시각 이상, 조직 손상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4. 면역요법:
약물: 알레르기 피부 주사, 면역 조절제 등
작용 메커니즘: 면역 체계를 조절하여 알레르기 반응을 억제합니다.
부작용: 주사 부위 통증, 발적, 저혈압, 두통, 근육통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면역 조절제는 면역 기능 저하, 감염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약물의 부작용은 개인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경구 투여보다는 코 스프레이나 주사로 투여될 경우 부작용이 적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장기간 사용할 경우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의사의 처방에 따라 적절한 용량과 사용 기간을 지켜야 합니다. 또한 알레르기 반응이나 부작용이 나타날 경우 즉시 의사에게 알려야 합니다.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활치료 실비 가능할까? 통증치료의 모든것. 도수치료 실비청구 방법 및 물리치료의 종류 및 부작용 주의할 점, 체외충격파 치료에 대해서 (16) | 2023.06.08 |
---|---|
족저근막염 치료 및 예방 그리고 족저근막염 증상에 대해서 발바닥 통증 그리고 발바닥 통증 이유 (19) | 2023.06.06 |
요실금 증상. 요실금 케겔운동 및 요실금 치료 약물과 부작용에 대해서 그리고 요실금 예방법 (16) | 2023.06.04 |
대상포진 증상과 단순 포진 증상의 차이점, 대상포진 치료법 및 단순 포진 치료법, 대상포진 예방주사, 대상포진 백신/ 대상포진 항바이러스 약물 (7) | 2023.06.04 |
당뇨병 원인및 당뇨병 치료 그리고 당뇨병 예방법에 대해서 (22) | 2023.06.03 |